참고 문헌 관리 프로그램 엔드 노트 사용법 라이브러리 만들기, 레퍼런스 관리, 참고 문헌 간단한 작성, 참고 문헌 스타일 변경 (APA) → → Chicago Style)
참고 문헌 관리 프로그램 엔드 노트 사용법 라이브러리 만들기, 레퍼런스 관리, 참고 문헌 간단한 작성, 참고 문헌 스타일 변경 (APA) → → Chicago Style)

저번에 참고문헌 관리 프로그램 엔드노트 기능 간단하게 설명드렸죠?이번에는 본격적인 사용법을 가져왔어요!최신 X9버전으로 캡처했으니 참고하시기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엔드노트의 주요 용어 3가지를 알고 가는게 편할 것 같아요! 엔드노트주요용어정리
-Reference참조:일반 노트에 가는 논문, 단행본 등의 개별 서지 정보-Library라이브러리:레퍼런스를 모아 관리하는 역할.확장자 enl파일, 라이브러리 작성 시 데이터 파일도 같이 생성된다.(컴퓨터를 이동할 때 enl파일과 데이터 파일을 모두 이동해야 레퍼런스가 그대로 사용 가능)-Output style출력 스타일:논문 본문 인용 부분과 하단을 참고 문헌에 표기되는 부분 형식(APA스타일, 시카고 스타일 등)1. 라이브러리 작성 엔드 노트 다운로드 방법은 이전의 포스팅에서 설명하셨죠?엔딩 노트를 다운로드한 회색 화면만 표시됩니다만, 거기서 레퍼런스(=참고 문헌)을 넣어 주는 라이브러리를 작성하는 것이 가장 먼저입니다!
File-New선택
파일 이름은 기본적으로 그렇게 표시되지만 저장 위치와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중인 프로젝트명으로 설정하셔도 됩니다!아까 용어 설명할 때도 말씀드렸지만 enl 파일과 데이터 파일을 함께 백업해야 다른 컴퓨터에서 열 때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라이브러리를 작성하면 팝업처럼 표시되지만, 전체 화면으로 크게 만들어 보는 게 편하다고 생각합니다.2. 참조를 가져오려면 레퍼런스를 갖고 오지 않으면 않 되지?반입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저는 riss기준으로 설명합니다만, 파일을 한꺼번에 선택→ 변환→ 엔드 노트 클릭→ 파일이 다운로드되면 클릭→ 자동적으로 엔드 노트에 반입 완료
클릭하고 변환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입니다!PDF파일을 이미 가지고 계시다면, 파일에서 엔딩 노트에 읽기 방법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글 PDF파일은 읽어도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호환성이 영어 파일, 워드 및 100% 있다고 합니다.온라인 검색 기능을 이용하고 엔딩 노트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방법도 있지만 엔드 노트 프로그램에서 검색하기 위해서인지 제한 사항이 많아요 그래서, 저는 그냥 온라인에서 변환하는 경우를 가장 잘 사용합니다!나는 포스팅을 위해서 팀 티칭에서 검색한 뒤 뭐든지 누르고 6개를 반입하였습니다(내가 이 분야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엔딩 노트 사용법 포스팅 때문에 임의로 가져온 논문인 것을 밝힙니다.반입하자 이같이 목록이 표시되어 오른쪽에 레퍼런스의 종류, Preview, AtachedPDFs라고 표시되죠?맛보기로 참고 문헌이 어떻게 될까볼 수 있습니다저는 APA을 선택하고 놔서 맛보기가 표시됩니다.PDF파일이 있으면 옆에서 원문도 볼 수 있습니다그럼 PDF파일은 어떻게 첨부합니까?3. 실험에 PDF파일을 첨부하는 PDF파일을 가지고 계시다면, 임포트 기능으로 레퍼런스에 PDF파일을 첨부해서 둘 수 있습니다굉장히 좋은 기능.프리뷰에서 참고문헌이 어떻게 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나는 APA를 선택해 놓았기 때문에 프리뷰가 표시됩니다.PDF 파일이 있으면 옆에서 원문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PDF 파일은 어떻게 첨부하나요?3. 레퍼런스에 PDF 파일을 첨부하는 PDF 파일이 있다면 가져오기 기능으로 레퍼런스에 PDF 파일을 첨부해 둘 수 있습니다. 굉장히 좋은 기능…프리뷰에서 참고문헌이 어떻게 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나는 APA를 선택해 놓았기 때문에 프리뷰가 표시됩니다.PDF 파일이 있으면 옆에서 원문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PDF 파일은 어떻게 첨부하나요?3. 레퍼런스에 PDF 파일을 첨부하는 PDF 파일이 있다면 가져오기 기능으로 레퍼런스에 PDF 파일을 첨부해 둘 수 있습니다. 굉장히 좋은 기능…File-Import – 파일 찾아서 넣기 – Importoption PDF로 설정 – Import 적용!2개 넣어봤어요 attached PDFs 대신 원문이 보이고 파일명이 표시됩니다 attached PDFs를 클릭하여 파일을 첨부하셔도 됩니다. 4. 그룹 만들기 개별 레퍼런스를 나눠서 그룹별로 관리하면 편하겠죠?그럼 우선 알아야 할 것은 그룹 3과 그룹입니다!그룹셋이 그룹의 상위이기 때문에 그룹셋을 먼저 작성한 후 그룹을 만들어야 합니다!My Groups가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우클릭-Creat Group Set – 이름을 설정하면 그룹셋이 생성되고, 같은 방법으로 그룹셋에서 우클릭-그룹생성-이름을 설정하면 그룹이 생성됩니다.나는 국내 논문, 국외 논문으로 그룹 세트를 설정한 후 국내 논문에 저렇게 임의로 기타 아동 체육으로 그룹을 작성했어요!All reference에서 각 그룹에 레퍼런스를 분류하려면, 드래그 앤 드롭하거나 복사를 붙이세요!이로써 레퍼런스 관리는 되지만 원문을 보고 싶은데 어떻게 일일이 찾니?라고 생각하죠?5. 원문을 쉽고 빠르게 찾는 방법은 2개 있습니다Find Full text, Open URL link 5-1. Find Full text아까 제가 첨부 파일이 있는 두개 논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네개의 논문의 원문을 찾아볼게요!!그 논문을 선택한 뒤 Find Full text을 위의 캡처 책처럼 누르세요.아니면 지구본에 확대경이 있는 그 아이콘을 눌러도 될까요.그런데 주의점은!!한글 파일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교내망을 이용해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저도 아까 시도했지만, 틀렸어요 ww너무 많은 양을 시험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실패하면 위 캡처 왼쪽처럼 Not Found로 표시됩니다만, 그럼 open URL기능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5-2)Open URLink, 이는 원문이 있는 링크를 찾아 여는 기능입니다.복수의 파일을 한꺼번에 열 수 없고 하나의 파일마다 1회 눌러야 하니 잠시 귀찮겠지만, 하나하나 검색하기보다는 훨씬 좋죠?+)Find Full text과 Open URL환경 설정 편집-Prefernece-Find Full text-Open URL전 체크-Open UL path, Authenticate with에 각각 URL입력(이들 URL에는 소속 기관 도서관에 문의 주세요!)저는 이렇게 입력했어요!소속기관 도서관에서 알려준 대로 입력한 이후 OpenURLLink 버튼이 원래 유효하지 않았는데 아래 캡처본처럼 활성화되었습니다!한번만 설정하면 계속 쓴답니다.그런데 저는 Open URL기능을 더 많이 쓰게 되었습니까?(웃음)참고 문헌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이 엔딩 노트 사용법의 포인트죠?레퍼런스 관리도 중요하지만 일반 노트를 사용하는 궁극의 이유는 여기 있잖아요 간단하게 참고 문헌 리스트를 작성하라!스타일 포맷에 맞지 않거나 일률적이지 않을지 걱정하고 있었지만, 이것만 알면 참고 문헌 목록 작성에 문제는 없습니다. 참고 문헌 리스트를 간단히 하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우선 1) 원하는 레퍼런스 선택 2)희망하는 참고 문헌 스타일 선택(상단의 Select Another Style을 클릭하면 여러 참고 문헌 스타일이 있다)3)상단 메뉴의 Edit-Copy formatted선택 4)한글 또는 워드에 붙인다(ctrl+V)한번만 설정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대요.그런데 저는 OpenURL 기능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까?ㅋㅋ참고문헌목록작성하기이게엔드노트사용법의포인트죠?레퍼런스 관리도 중요하지만 엔드노트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여기 있잖아요 간단하게 참고문헌 목록을 작성한다!스타일 포맷에 맞지 않거나 일률적이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이것만 알면 참고문헌 목록 작성에 문제가 없습니다.참고문헌 목록을 간단하게 만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먼저 1) 원하는 레퍼런스 선택 2) 원하는 참고문헌 스타일 선택(상단의 Select Another Style 클릭시 다양한 참고문헌 스타일 있음) 3) 상단 메뉴의 Edit-Copy formatted 클릭 4) 한글 또는 워드에 붙여넣기(ctrl+V)한번만 설정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대요.그런데 저는 OpenURL 기능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까?ㅋㅋ참고문헌목록작성하기이게엔드노트사용법의포인트죠?레퍼런스 관리도 중요하지만 엔드노트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여기 있잖아요 간단하게 참고문헌 목록을 작성한다!스타일 포맷에 맞지 않거나 일률적이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이것만 알면 참고문헌 목록 작성에 문제가 없습니다.참고문헌 목록을 간단하게 만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먼저 1) 원하는 레퍼런스 선택 2) 원하는 참고문헌 스타일 선택(상단의 Select Another Style 클릭시 다양한 참고문헌 스타일 있음) 3) 상단 메뉴의 Edit-Copy formatted 클릭 4) 한글 또는 워드에 붙여넣기(ctrl+V)이렇게 보았습니다!지금까지 참고 문헌.수동으로 쓴 분들..?(나 포르투갈(팀)큰소리로 소리 치세요..너무 좋아요?굉장히 편리하다.그래도 워드와 100%호환 그래서 한글을 사용하는 것은 한글로 바로 붙이면 오류가 나올지도 모릅니다의 단어에 먼저 붙이고 나중에 또 한글에 붙이면 너무 좋아요에러가 없어요. 참고 문헌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워드에서 곧바로 읽는 것입니다 이 노트를 설치하면, 엔딩 노트 X9다는 워드 상단의 맨 끝에 탭이 하나 더 생성됩니다그럼 1)엔딩 노트 탭 선택 2)희망의 아웃풋 스타일 선택(아래의 캡쳐에 표시되는 송어의 “style”의 옆을 누르면 다양한 스타일이 표시됩니다). 3)Insert Citation클릭한 뒤 최종 노트 라이브러리에서 참조를 검색하고 insert를 클릭하세요.저의 경우에는 엔딩 노트에서 참고 문헌 리스트를 작성하고 싶은 레퍼런스를 사전에 선택하고 Insert Selected Citation(s)을 클릭하고 바로 읽기 방법이 가장 좋아합니다!찾는 시간이 없어요Insert Selected Citations는 가장 왼쪽 버튼 밑의 Insert Citation버튼을 클릭하면 기 목록 2번째에 있습니다.이렇게 선택된 레퍼런스를 불러와도 인용 및 참고문헌 목록이 동일하게 생성됩니다!워드에서는 위의 스타일을 누르고 바꾸어 바로 APA에서 시카고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정말 편리하지 않나!!!그리고 학술지에 투고할 때 EndNote데이터와 연결되지 않은 텍스트 버전의 원고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이때는 convert to plain Text메뉴(Convert Citations and Bibliography를 클릭하고 하단 명단 2번째)을 통해서 새로운 복제 파일을 작성한 뒤 제출하면 좋대요.*자동으로 목록이 변환되지 않을 경우 Update citations and Bibliography를 실행하세요. 또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 엔딩 노트 사용법을 포스팅한 다음에 만일 희망하시는 분이 계시면 일종의 클라우드 기능인 웹 싱크 기능과 라이브러리 공유 기능을 포스팅한 것 같지만, 원하세요?개인적으로 비밀의 코멘트를 주신다면 업로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