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 지구과학 강의에서 교과서 재구성 조별 과제가 있었다.우리 파트는 태양계 멤버였다.교사는 학생들에게 ‘아 태양계가 너무 크구나’라는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했다. 그렇다면 기존 교과서의 문제점은 무엇일까?내가 생각한 문제점은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비율이 ‘정확하게’ 나오는 그림이 없다는 것이다.
2020년도 아이스크림 출판사 5-1 과학 교과서

위의 태양계 모형은 실제 크기와 거리가 비율에 맞게 계산된 것이 아니다. 교과서에서도 우측 상단에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는 실제 비율과 다릅니다.’라고 쓰여 있다.실제로 태양은 지구에 비해 약 110배 가까이 크다.그리고 해왕성은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보다 30배 멀리 떨어져 있다.만약 크기와 거리의 비율을 A4종이 위에 실제처럼 나타내려고 한다면 행성은 별로 작아도 보이지 않을 것이다.
정말 다행스럽게도 유튜브 채널 중에서 To Scale이라는 곳에서 실제 태양계의 크기와 거리 비율에 맞는 모형 하나를 제작하는 영상을 만들어 공유해줬다.이들은 실제 비율에 맞는 태양계를 구현하기 위해 지름 약 11㎞에 달하는 광대한 사막에서 촬영했다.직접 만들기 활동이 어려운 학급에서는 위 영상만 시청해도 충분히 학생들을 감동시킬 수 있다.학급에서 위와 같이 직경 11km의 영역을 찾아가 모형을 만드는 행위는 비현실적인 것이다. 대신 크기 모형과 거리 모형을 각각 만들 수 있다.사이즈 모델
1cm 크기의 지구 지름의 태양계 크기 모형
(제가 직접 활동한 사진이 어디론가 사라져버려서..죄송하지만 다른 선생님의 사진으로 바꿔드리겠습니다.)

나의 활동사진 (아이의 얼굴이 있어서 편집했다)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28개 언어 문서 토론 독해 편집 역사 보는 도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 표는 반지름 순서의 태양계 천체 목록으로 반지름 기준으로 큰 천체부터 작은 천체까지 순서대로 정렬하였다. 이 목록은 모든 천체를 망라한 것이 아니라 태양, 행성, 큰 위성 및 중요한 천체를 싣고 있다. 아래 표의 순서는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과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부 천체의 경우 다른 천체보다 밀도가 작거나 더 큰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천왕성은 해왕성보다 반지름은 크지… ko.wikipedia.org

위키피디아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반지름 순서대로 정렬된 태양계 천체 목록을 볼 수 있다.이 천체 목록에 나타나는 상대적 크기는 지구의 반지름을 1로 한 것과 비교하기 때문에 참고하기에 좋다.행성은 A4용지로 크기를 재서 출력하면 되는데 지구 지름이 1cm일 때 태양이 대략 110cm 정도 된다.. 태양은 전지 4장을 잘라내 붙이는 것이 가장 좋다.2. 태양계 거리 모형 위 크기 모형 활동을 했다면 낮은 크기 기준으로 거리 모형을 만들면 된다.각 시도청에서는 시내 지도를 업로드해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하면 편리하다.
제천시 행정지도(시내중심길)제천시 행정지도(시내중심길)최신 버전의 4분의 1을 각각 담당해야 하기 때문에 6개의 그룹 중 2개를 나누어 4개의 그룹 활동으로 바꾸는 태양 모형에 그림을 허용하여 비직관적으로 바뀌었지만, 아이들은 저것이 태양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큰 관계는 없을 것 같다+하얀 배경에 각자 활동 소감을 썼다